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커피 원두 등급, 알아두면 절대 호갱 안된다

커피 원두 등급은 생각 국가별로 다르게 나눈다고 한다.
어떤 곳은 생산 고도로, 어떤 곳은 결함이 있는 원두의 개수로 나누는 등이 그것이다.
원두를 사거나 커피를 마실 때 원두의 종류를 보고 고르는 경우가 흔한데, 아래 내용을 보고 피해야 할 원두와 구입해야 할 원두를 구분해 보자.

 

📌 (원문) 주요 국가별 커피 원두 등급 분류

 

위 내용을 보면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나는 관심 있는 몇몇 국가만 추려서 정리해 본다.

 

케냐

케냐는 자주 마시고 있어서 커피 원두 등급을 어떻게 나누는지 특히 궁금했다.

케냐 AA가 고유명사처럼 보이는데, AA가 등급 이름이고 원두의 크기로 등급을 나눈다.

원두가 큰 것이 밀도도 높아 좋은 평가를 받는 것.

AA 다음으로 AB, C, T 등급도 있고, 이와 별도로 TOP, PLUS, FAQ라고 향미를 추가로 표시하기도 한다.

TOP 등급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이다.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는 커피 원두 등급을 결점두 수로 나눈다.

결점두는 문제? 가 있는 콩의 수이다.

깨졌거나, 벌레를 먹었거나, 곰팡이가 생긴 것 등이 결점두가 된다.

 

300g 기준으로 결점두 개수 최대 3개 까지는 G1 등급이며, 흔히 보이는 G2 등급은 12개까지이다.

수출용은 G4까지인데 사실 G2 이하는 잘 안 보이는 것 같다.

 

자메이카

개인적으로 자메이카 원두는 자주 즐기지는 않지만, 많이 들어본 블루마운틴이 자메이카에 있는 산이고, 원두이며, 등급이란다.

출처 : jacoffee.com

 

자메이카는 재배 고도에 따라 커피 원두 등급을 부여하는데,

블루마운틴, 하이마운틴, 로우마운틴으로 나뉜다.

 

이 외에 하와이, 인도네시아,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원두 등급은 아래 글을 참고해 보기 바란다.